인간화 지향과 기독교 신비주의(2)-박계주의
임영천의 한국 기독교소설 산책
박계주가 이용도로부터 사상적 영향을 받게 된 역정(歷程)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박계주가 ‘예수교회’와 직접적인 관계를 맺게 된 전후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박계주(朴啓周, 1913-66)는 만주의 간도 용정에서 태어났다. 그가 그곳의 영신중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이던 해(1931)에 이용도 목사가 간도의 용정에 부흥회를 인도하기 위해 들른 적이 있었다. 그런데 서운(曙雲) 박계주는 중학교 4학년 시절부터 기독교회와 관련을 맺기 시작했다고 전해지는데, 증거는 미약하지만, 박계주가 1931년 감리교회와 관련을 맺게 되었던 것은 감리교의 부흥목사 이용도의 영향 때문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해 준다. 특히 그의 그 후의 행적에서 그런 느낌을 강하게 받지 않을 수 없다고 하겠다.
그는 1932년 중학을 졸업하고서 곧 어느 감리교 계통의 소학교에서 교편생활을 하다가, 1933년 미국 유학의 길을 찾기 위해 감리교 신학교를 지망해 스칼라십을 얻어냈지만, 안타깝게도 연령 미달로 대기 상태에 있다가 새로이 뜻한 바가 있어 사설수도원인 신학산(神學山)에 들어가게 되었다. 거기서 그는 백남주(白南柱) 목사등의 권유를 받아 평양의 중앙선도원으로 가게 되는데, 그해(1933) 6월 그곳에서는 백남주와 이용도 등이 중심이 되어 ‘예수교회’란 새 교파가 창설되었고, 그때 초대 선도감으로 이용도가 선출되었던 것이다.(그러나 이용도는 이 일이 있은 몇 달 뒤, 불행하게도 서거하였다.)
백남주 목사의 권유로 박계주는 그해(1933)에 중앙선도원의 기관지인 월간 <예수>를 창간하고 그 편집 책임자가 되었다. 중도에 <예수>지 편집 일을 그만둔 적도 있었지만, 1937년 또다시 <예수>지 편집 일을 맡음으로써 그는 <예수>지 편집에 전후 4년여의 시간을 보냈다. 초대 선도감 이용도의 정신이 크게 지배하고 있던 ‘예수교회’의 중앙선도원에서 기관지 <예수>를 발간하는 편집 책임자로서 4년여 재직하던 그 시기에 그는 <순애보(殉愛譜)>란 소설 작품을 구상하고 있었던 것이다.
결국 그는 그 작업을 완성해 1938년 매일신보에 응모하여 당선의 영광을 안을 수 있었다. 여담이지만, 박계주가 1933년 <예수>지 편집 책임을 맡기 그 이전, 그는 한 신문의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赤貧>(1930)이 가작으로 뽑힌바 있으며, 그 다음해 다른 작품 <혁명전선에 나서는 소년형제>를 <민성보> 한글판에 발표하기도 하는 등 문학에 대한 열정이 강했다고 보겠다. ‘예수교회’ 창설자 이용도는 1933년 10월 서거했으나 그 자신이 뿌린 씨앗, 곧 그의 기독교 정신은 박계주의 <순애보>를 통해 5년 뒤 그 문학적 결실을 맺게 된 것이다.
그러나 필자가 여기서 이런 단정을 내리는 것은, 박계주가 ‘예수교회’의 회원으로 그 기관지 <예수>를 편집하는 책임을 맡았었다고 하는 단순한 이유만으로 그의 소설 <순애보>가 그 교파의 초대 선도감이었던 이용도 목사의 사상을 영향 받게 되었을 것이라는 개연성에만 기대어 하는 말은 아니다. 그것은 문자 그대로 개연성으로 충분하다.
박계주의 <순애보>가 이용도의 기독교 사상을 다분히 영향 받았다고 할 때에는 그 작품의 내용과 이용도의 기독교 사상 사이에 분명한 일치점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그 이외의 몇 가지 점 등이 합해져, 이 작품이 틀림없이 이용도의 영향 하에서 집필된 것이란 점이 분명하게 드러나야 할 것이다. 필자는 이하에서 이와 같은 면을 중심으로 논의를 이어가보기로 한다. 이는 곧 이용도의 ‘고난과 사랑의 신비주의’가 어떻게 <순애보>에 반영되어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는 일이 될 것이다.
/조선대 명예교수·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