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9(금)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2.09.03 21:17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11임영천.png

 

1984년에 발표된 현길언의 중편소설 <신열>은 평론가 김병익에 의해 작가의 가장 주목할 문제작으로 평가됐으며, 평론가 오생근에 의해서는 그 가치를 새롭게 평가할 수 있는 작품이란 식으로 평가된 바 있었다. 그 외 다수의 평론가들에 의해 가히 격찬된 바 있었던 이 작품에 대하여 이하에서 살펴보기로 하겠다.

 

이 작품이 소재 면에서도 기독교적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주인공 김만호의 상대역으로 등장하는 강성수란 인물이 기독교회의 목사신분이란 점과, 그가 일제 강점기에 목회하던 교회의 실상이 작품 속에 어느 정도 구체적인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다는 점 등에 기인한다.

 

한편 등장인물들 중의 하나인 장성환이란 인물의 인격 변화까지 보여주고 있는 이 소설은 심각한 문제의식을 내포한 그 주제 면과도 관련시켜 볼 때, 역시 독자들에게 큰 충격을 줄 수 있으리라는 대단한 기대감을 갖게 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다.

 

이 장성환이란 인물은 일제 강점기에 고등계 형사로 일하다가 광복 이후엔 도경 사찰과장을 지낸 자로서, 그는 지난 시대의 과오를 참회하고 이제는 열심히 교회엘 다녀 세례교인이 되기까지 한 것이다.

 

실제로 이 작품은 그 예상되는 기대감을 독자에게 충족시켜 주는 결과를 보여 준다. 기회주의자요 출세주의자인 김만호의 상대역으로 등장하는 강성수목사는 오토 브루더의 소설 <산 위의 마을>의 주인공인 그룬트목사를 그대로 닮은 목회자이다.

 

그러므로 강성수목사는, 표현컨대, 한국판 고백교회 목사라고 할 수 있다. 일본 군국주의의 점진적이고도 조직적인 억압 하에서 강목사는 우리의 얼을 지키고 민족의식을 잃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그것이 그에게는 곧 그의 기독교 신앙을 지키는 길이기도 했다.

 

교회가 그런대로 날로 번창해 가는 중에 어느 날 주재소 주임이 나타나 강목사에게 엉뚱한 요구(지시)를 하고 돌아갔다. “이건 상부의 지시입니다. 강단에서 설교할 때 일본말로 하시오물론 당시는 일제의 식민 통치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일본어가 공식어로 쓰이던 때여서, 실제로는 한글신문이 폐간되고 학교 수업 중에도 일본어만 사용되고 있었다. 이어서 강목사와 주재소 주임 사이에 아래와 같은 대화가 더 오고 갔다.

 

일본말로 설교를 하다니요. 교인들 중에 일본말을 아는 사람이 얼마 됩니까?” “조선말 설교를 계속한다면 불가불 교회 문을 닫을 수밖에 없습니다” “제 자신도 설교를 할 정도로 일본말에 익숙하지도 못한 처지인데 어떻게 일본말로 설교를 할 수 있습니까?” “그러시다면 몇 년 일본말 공부를 하고서 다음에 강단에 서시지요당시 점진적으로 일제에 침탈되어 가던 우리나라의 전반적 사정과 종교의 자유가 점차적으로 침식되어 가던 당대 교회의 실상이, 위의 대화에서 보듯이, 평행을 이루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치적 억압과 경제적 수탈이 가속화되던 때에 종교적 간섭과 사상적 탄압이 함께 이뤄진 것은 오히려 당연한 일이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다음 주일에도 강목사가 여전히 우리말로 설교를 하자, 그 주임이 다시 나타나 그에게 엄포를 놓았다. “하나님은 일본말을 모르나요. 왜 지시를 어기는 것입니까. 교회 문을 닫아도 좋습니까?” 결국 강목사는 다음 주일 날 교인들 앞에서 우리말 고별 설교를 할 수밖에 없었다. “오늘로서 우리말로 하는 제 설교는 마지막입니다. 어쩌면 앞으로 우리말 설교를 듣지 못할지도 모릅니다.” 실로 그것은 그의 마지막 설교였다./조선대 명예교수·문학평론가

 

 

 

 

 

태그

전체댓글 0

  • 9006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자기희생적인 그리스도인의 표상(2)-현길언의 중편소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