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준인
총신대학교 교수, 청량교회 담임목사
10년 단위로 묶은 기간 중에서 기록상 가장 더웠던 기간이 언제일까? 1979-1988년? 1989-1998년? 1999-2008년? 2009-2018년? 10년 단위로 가장 더웠던 햇수가 가장 많이 들어 있는 기간은 현재를 기준으로 가장 최근의 10년간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의하면, 적어도 1880년 이후로 지구 표면의 평균 온도는 지속적으로 상승해 왔다. 특히 지난 30년 동안에 강한 온난화 추세가 계속되었다.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회의(IPCC)는 이런 결론을 확고하게 지지한다.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에 의해 1988년에 설립된 IPCC는 지구 기후 변화에 관한 믿을 수 있는 과학적 정보를 제공해주는 대표적인 기구로 널리 인정 받고 있다. 2007년의 IPCC의 제4차 보고서는 가장 최신의 자료와 명확한 평가들을 담고 있다. 이 보고서는 기후 변화에 관한 과학적 근거에 따라 이렇게 결론을 내리고 있다. “기후 체계의 온난화는 분명한 사실이다.” 반박할 수 없는 증거에 의하면, 지구는 점점 더 더워지고 있다.
지구온난화의 원인
지구는 계속 더워지고 온실가스의 농도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이 일이 단지 우연의 일치일까? 아니면 그 둘 사이에 분명한 연관성과 인과관계가 있을까? 이 문제와 관련해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2007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회의(IPCC) 보고서는 그것에 관해 이렇게 밝혔다. “관측된 자료로 볼 때 20세기 중반 이후에 이루어진 지구 평균 기온의 상승은 대부분 인간의 활동에서 비롯된 온실가스의 농도 때문인 것이 거의 확실해 보인다.” 달리 말해서, 우리 인간이 온난화 현상의 주범일 가능성이 십중팔구라는 것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화석연료는 대기의 화학적 성질을 바꾸어 놓았으며, 지구의 기온을 높였다. 게다가 온실가스의 배출이 현재의 비율이나 그 이상으로 지속된다면, 지구의 평균 기온이 1.7도에서 2.0도 가량 상승하리라는 것이 거의 확실하다. 이 증가 수치는 20세기에 증가한 수치보다 훨씬 높은 것이다. 간단히 말해, 우리 인간들은 지구를 뜨겁게 달구고 있으며, 지금 이 상태로 밀고 나가면 그 결과는 참으로 비극적이 될 것이다.
생태신학의 위치
이처럼 현대인은 생태학적 위기 속에서 살고 있다. 인간의 유일한 삶의 공간인 지구의 환경이 훼손되어 인간 생존의 필수 요건인 공기, 물, 땅이 오염되고 있고 유한한 자원이 개발로 인해 고갈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산화탄소나 메탄과 같은 온실가스가 배출되어 지구온난화 현상이 가속화됨에 따라 해수면이 상승하고 개발도상국들이 사막화되며 기후 붕괴로 인해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는 현상이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렇듯 인류 최대의 관심사로 등장한 환경 문제에 대해 기독교도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그렇다면 성경에 근거한 기독교적 대안은 무엇인가? 이에 대한 응답의 시도가 생태신학 내지는 환경신학이다. 이것은 생태학적 관점에서 성경을 이해하고 해석하고자 하는 신학사조로서 자연과의 사귐에 대한 신학적 근거 제시를 목적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창조론이 그 중심에 있으며 새로운 관점에서 창조 신학이 제시된다. 현대신학은 일반적으로 상황신학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현대의 정황(context)이라는 관점에서 성경 본문(text)을 해석하기 때문이다. 해방신학, 민중신학, 여성신학, 흑인신학, 생태신학 등이 거기에 해당한다. 이런 면에서 자연환경의 보전 문제에 대한 기독교적인 대안이라고 할 수 있는 생태신학도 현대라는 정황이 만들어 낸 전형적인 상황신학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생태학적 위기에 직면한 현대의 정황을 주제로 하여 전통신학의 창조 이해를 비판하고 창조 보전을 위한 새로운 신학적 기반을 마련하려 했기 때문이다.
생태신학의 태동
생태학(ecology)이라는 말은 집과 학문을 의미하는 헬라어 오이코스(oikos)와 로고스(logos)를 합성한 말이다. 즉 인간이 자신의 삶의 공간인 자연과 어떠한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생태학이다. 1975년 나이로비에서 열린 제5차 WCC 총회는 생태학적 위기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이것을 신학과 교회의 핵심 과제로 설정해야 한다고 선언하고 이 위기상황을 성경적인 창조신앙에 근거한 생태학적 신학으로 극복할 것을 촉구하였다. 이것은 생태학에 대한 기독교의 입장을 최초로 공식 표명한 것이었으며 이를 계기로 생태학적 성경해석이 시도되었다. 1983년에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제6차 WCC 총회는 자연보전의 문제가 신학적 토론과 실천과제임을 천명하고, 1990년 서울에서 열린 회의에서는 정의, 평화, 창조보전(Justice, Peace, the Integrity of Creation)을 신학적 주제로 새롭게 부각시키고, 1991년 호주 캔버라에서 열린 제7차 총회에서는 주제를 “성령이여 오시옵소서!”로 하고 부제를 “창조보전”으로 삼음으로써 이 문제를 계속해서 다루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5년 몰트만(Jürgen Moltmann)이 쓴 <창조 안에 계신 하나님, Gott in der Schöpfung>이 1986년에 김균진 교수에 의해 번역 출판되면서부터 생태신학이 소개되기 시작했다. 사실 생태학적 입장에서 창조론을 최초로 전개한 학자는 몰트만이었다. 그는 위의 책에서 현대의 생태론적 세계관의 도전에 대한 기독교 신학의 응답으로서 생태학적 창조신학을 제시하였다. 그 책의 부제가 “생태학적 창조론”이라는 것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생태신학의 동향과 과제
일반적으로 생태신학자들은 ‘환경’이라는 말 대신에 ‘생태’라는 말을 선호한다. 그 이유는 ‘환경’이라는 말은 그 중심에 인간을 두고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간중심주의적인 단어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들은 환경이라는 말 대신에 생태라는 말을 즐겨 쓴다. 생태 문제는 사실 다차원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 우선 그것은 우리의 세계관과 관련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하나님, 인간, 자연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우리의 사회적, 자연적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생태문제는 또한 우리의 경제적 정치적 제도와 관련되어 있다. 그것은 정부, 기업, 소비자가 개별적으로든 집단적으로든 생태계 위기에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생태문제는 우리의 도덕성과 관련되어 있다. 과도한 낭비와 무절제한 삶의 방식도 생태계 파괴와 직결되어 있다. 이런 문제를 풀기 위해서 우리는 다차원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예컨대, 철학적인 면에서의 인식론의 변화로 인간중심주의와 이원론의 극복이 하나의 과제일 것이고, 생태 정의 운동을 통한 사회적 제도나 체제에 있어서의 구조적인 변화가 또 하나의 과제일 것이며, 일상생활의 수준에서 소박하고 검소한 생활방식으로의 변화가 또 하나의 과제가 될 것이다. 이런 다차원적인 생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역시 다차원적인 신학적 응답이 필요하다. 그래서 생태신학의 중심적인 논의 중의 하나가 바로 하나님과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 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다시 말하면 우리의 세계관과 생태문제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인간을 자연보다 우위에 두게 되면 인간중심주의가 되고, 또 자연을 인간보다 우위에 두게 되면 생태중심주의가 된다. 그리고 자연을 신격화하게 되면 범신론이 된다. 성경적인 입장에서 보면, 인간중심주의(anthropocentrism)나 생태중심주의(biocentrism)가 아니라 하나님중심주의 (theocentrism)다. 하나님중심주의는 하나님이 창조하신 창조세계를 보전하는 것이 청지기인 우리의 책임임을 강조한다.
- 프로젝트: 기후 위기 시대의 기독교 ; 생태신학 녹색교회 생명목회를 위하여 -
- 공동주최: 기독인문학연구원-이음사회문화연구원 · 기독교환경교육센터 살림 · 에이치투그룹 주식회사
- 후원 및 연대기관: 주)천일식품 · 한국교회생명신학포럼 · 비블로스성경인문학연구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