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희생적인 그리스도인의 표상(3) -현길언의 중편소설
임영천의 한국 기독교소설 산책
강성수목사는 그 다음 주일부터 무언(침묵)으로써 설교 시간을 지키는 특이한 예배형식을 보여주었다. 이는 비유적으로 표현해, 유신 정권 때 장준하씨가 그의 <사상계> 권두언을 군사정권에 대한 항거의 뜻으로 백지 상태 그대로 놔두었던 일과 원리상 유사하다고 하겠다. 그러나 이런 ‘침묵의 설교’가 오래 갈 리 없었다. 일본말 설교를 하지 않으면 교회 문을 닫게 만들겠다는 주재소 측의 통보가 다시 날아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구하고 강목사가 여전히 ‘무언의 설교’를 하자 어느 날 헌병들이 교회로 들이닥쳤다. 마치 <산 위의 마을>에서의 독일군 비밀경찰(게슈타포) 역을 수행하는 이 일본 헌병들은, 역시 그 작품 속의 주인공 그룬트목사 역을 맡은 처지의 강목사를 강제 연행해 간다. 일(日) 헌병들에게 끌려간 강목사는 “교회 문을 닫지 않게 하겠으니 일제에 협력하라”는 회유를 받고, 또 신사참배와 창씨개명까지 요구받지만 그 모두를 거부하자, 결국 그는 수형생활을 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형기를 마치고 출소한 얼마 뒤 그는 광복을 맞이하게 됐다. 그리고 폐허가 된 교회를 다시 재건하려고 애쓰던 중 이른바 제주 4·3 사건을 만나 그는 좌익 청년들에게 살해당하고 만다. 이처럼 그의 일생은 고난과 패배의 한 평생이었다. 그의 허무한 삶이 더욱 처참하게 보이는 것은 그의 죽음 뒤에도 그는 빨갱이(공산주의자)라는 누명을 쓰고 그것을 결코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에 비하여 그의 친구 김만호는 요령 있게 세상을 살아가면서 지방의 유지로까지 행세하고 있었다.
김만호는 일제 강점기에 친일행위를 한 일로 광복 뒤 곤경에 처한 인물이었지만 강목사의 보살핌으로 간신히 위기를 넘겼었는데, 그는 그 은혜를 배은(망덕)으로 갚으려 했는지 강목사가 억울하게 죽은 뒤 그가 공비토벌대(즉 우익 세력)에 의해 처형됐다는 허무맹랑한 말을 퍼뜨림으로써, 그 결과 강목사는 완전히 빨갱이로 몰리는 신세가 된 것이다.
이런 김만호가 ‘한국신문’이 제정한 ‘선구적인 시민상’ 수상자로 내정되어 있다는 사실이 외부로 알려졌다. 그러나 화자인 최 부장은 오히려 강성수목사의 신원을 위해 노력하면서, 애국자요 정의의 예언자였던 강목사의 억울함을 함께 신원해 보려는 뜻을 지닌 갸륵한 사람들을 몇 사람 만나보게 된다. 실상을 알아보기 위해 최부장이 만난 어느 칠순 노파 한 사람은 강목사에 대하여 이렇게 말했다.
“강목사는 나보다 두 살 아랜데, 그분 설교 말씀 들으면 예수 안 믿을 사람 없을 거라. 그만큼 말도 잘 했지만 인물이었어. 믿음은 아마 사도 바울 다음일 거라” 여기서 우리는 죽은 강 목사가 민중에 의해 다시 살아나기 시작한 것을 본다. 비록 시민상을 받게 된다고 할지라도 김만호는 계속 역사의 심판을 받지 않을 수 없을 것이고, 비록 억울하게 죽었다고 할지라도(그래서 일시적으로는 사상 불온자로까지 몰리고 있다 할지라도) 강목사는 사랑과 정의의 예언자로 길이 살아남으리라는 믿음을 독자들은 갖지 않을 수 없게 될 것이다.
작가는 이 소설을 통해 진정한 그리스도인 상이 무엇인가를 뚜렷하게 부각시켰다. 그리고 오늘의 그리스도인은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동시에 가르쳐 주었다. 강목사는 자기희생을 통해서 그 나름의 하나님 나라 건설을 위해 헌신한 참 교역자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조선대 명예교수·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