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신부야
장한국의 '성경'과 '신앙'
아가서 4장 6절에서 8절까지 주님이 최초로 “나의 신부야”라고 호칭하신다. ‘내 사랑’에서부터 출발해서(아1:9), 2장에서는 “나의 사랑 나의 어여뿐 자야”로 호칭이 달라지면서 우리 신앙의 모습도 달라져 간다. 드디어 4장에 와서 “나의 신부야”라고 부르신다.
오늘날 그리스도인들 중에서 이 주님의 신부로 불릴 수 있는 신앙의 수준이 되어진 자를 가리켜 “나의 신부야”라고 부르신다고 본다. 이렇게 우리가 이 자리에 다 들 수 있기를 사모해야 될 것이다. 먼저 “날이 기울고 그림자가 사라지면 몰약산, 유향의 작은 산으로 가리이다”라고 말씀하신다.
이는 낮같은 은혜시대가 다 끝나 가는 때요, 어두움의 권세의 때, 즉 대환란이 가까워 오는 이때에 우리는 유향의 산인 주님 가신 겟세마네에 함께 가서 최후의 기도를 하자. 또 몰약산 같은 주님 십자가 달려 대속제물 되신 갈보리 산으로 함께 가자는 말씀이다.
유향산 같은 겟세마네에서 우리가 주님같이 비장한 기도를 할 때가 오리라. 바로 목전에 큰 고난과 순교의 죽음을 감지하면서 모든 것을 다 내려놓고 기도할 때가 오리라. “아버지여, 아버지 뜻대로 이 순교의 잔을 잘 마시게 하옵소서”라고 하면서 말이다. 그다음은 당연히 몰약산이 따르게 될 것이다. 주님 가신 그 코스 그대로 가게 될 것이다.
이 때 주님은 “내 사랑아, 너는 어여쁘고 흠이 없구나”라고 하십니다. 오직 주님이 기뻐하시는 믿음의 선상에 올라 선 그 영적 모습이 곧 모두에게 어여쁘다. 또 주님을 신랑으로 맞이할 수 있는 심령 성전이 완공되었으니 곧 “흠이 없이 온전하구나”라고 주님이 칭찬 하시는 것이다.
나의 신부야 함께 가자. 레바논의 헤르몬 정상으로, 그리고 그 정상에서 사자굴과 표범산을 바라보아라. 그러면 사자굴, 즉 음녀 바빌론의 정확한 분별과 대처할 길, 또 표범산, 즉 적그리스도의 등장과 그의 궤계 등을 분별함과 대처할 길 등이 보이리라.
즉 제일 높은 고도의 영적 분별하는 수준으로 가자는 신랑 예수님이시다.
또 아가 4장 1절에서 5절의 신앙 모습이 이뤄진 자임을 가리킨다. 그의 장성함의 계시인 “튼튼한 이와 두 가슴”, 또 일사각오의 영적 목숨으로 살고 있는 그 망대 같은 “목”은 그리스도의 신부의 자리에 서 있는 것을 가리킨다. 할렐루야./예장 진리측 총회장·주사랑교회 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