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교회 미술인선교부 ‘바라’ 정기전
간증과 소망, 찬양을 담은 신앙고백
◇명성교회 기독미술인선교부 바라(bara)는 정기전을 개최하고, 작품을 통해 세상에 그리스도의 문화를 전한다.
유화와 수채화, 렌티큘러 등 평면작품 총 29점을 전시
날마다 살아갈 에너지인 신앙의 ‘현재성’ 발견하도록
명성교회 기독미술인선교부 바라(bara)는 지난 19일부터 오는 24일까지 서울 인사동 인사아트센터 1층 본 전시장에서 「마이 테스티모니, 마이 데일리 브레드」(나의 간증, 나의 일용할 양식)란 주제로 정기전을 개최했다. 11회를 맞는 이번 전시는 27명의 기독작가가 각자의 간증, 소망, 찬양을 다양한 표현방식으로 세상에 선언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유화, 판화, 렌티큘러를 포함해 평면 총 29점을 선보였다. 이번 전시는 공동의 신앙고백이 현실과는 다소 동떨어진, 혹은 먼 미래의 비실재적인 환상으로 들리는 것에 의문을 품는 데서 시작했다. 이들은 “그 고질성과 두터운 장식을 걷어내고, 일상과 가까운, 실재로 내면화된 각자 신앙의 진모를 들여다보기”를 원했다. 그러면서 ‘지금, 여기’에 있는 우리 자신의 갈망을 채우며, 하루의 에너지를 공급하는 신앙의 ‘현재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작품을 통한 각자의 신앙고백이 서로 시너지를 이루어, 전시장에 성령의 임재가 가득한 듯했다.
◇기독미술작가들 각자의 신앙고백이 담긴 작품 29점을 전시하고 있다.
전시 작품은 연위봉작가(전 회장)의 「더 홀리 마운틴」, 김민주작가의 「깨지다」, 김예령작가의 「바람결 생명나무」, 김재경작가의 「더 데스 포 어스」, 박희연작가의 「큰 비의 소리가 있나이다」, 방현호작가의 「청천벽력」, 윤성찬작가의 「유앙겔리온」, 이민애작가의 「우리의 죄와 예수님의 속죄」, 진혜윤작가의 「평안(구름기둥 불기둥 아래)」 등 풍경화부터 추상화, 정물화까지 다채로웠다.
동 선교부 고문인 연위봉작가는 “작가는 작품으로 말한다. 내가 어떻게 살았는지가 작품 속에 드러난다”면서, “기독교 미술을 하기 위해선 진정한 신앙고백이 필요하다. 또 하나님의 말씀을 갖고 살아가고 있다는 어떠한 선언도 필요하다. 우리의 삶의 고백이 작품에 담기는 것이다. 우리가 세상에 그리스도 문화를 보여주고, 이를 통해 믿지 않는 자에게 하나님을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 그것이 우리가 해야 할 일이다”고 취지를 소개했다.
◇바라선교부는 첫날 개회 감사예배를 드렸다.
지난 19일 개회예배는 윤성찬집사(상임부장)의 인도로 드린 가운데, 김예령권사(경조부장)의 기도, 강기호집사(수석총무)·손정은집사(행사총무)의 성경봉독, 김동진목사(명성교회 행정부)의 설교, 이극범목사(파리장로교회)의 기도 등 순서로 드렸다.
김동진목사는 “온 세상은 하나님의 능력과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거울이며 증거이다. 사람의 무지함에도 불구하고, 결국 우리는 모든 피조물에 하나님의 영광을 덧입혀 놓으신 하나님의 창조를 인식할 수밖에 없다”면서, “작가들에게 허락하신 맑은 거울을 통해 ‘볼 수 없는’ 하나님의 영광스러운 피조세계를 많은 사람들이 알게 되길, 또 하나님 영광의 실체 앞에 설 수 있는 장이 되길 축복한다”고 강조했다.
◇김동진목사는 개회예배에서 '기독미술은 하나님께서 주신 맑은 거울'이란 메시지를 전했다.
서성록교수(전 한국미술평론가협회장)은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교회와 세상의 가교 역할로써, 세상이 줄 수 없는 평화와 화해의 가치를 더하는 작가들이 되길 바란다”고 축사를 전했다.
이번 전시 참여작가는 강기호, 강상훈, 곽정희, 김계신, 김민주, 김신영, 김영숙, 김예령, 김유영, 김재경, 김정숙, 박희연, 방현호, 손정은, 송광희. 양인아, 연위봉, 윤성찬, 윤호선, 이미라, 이민애, 이승은, 이인경, 임치용, 정인영, 진혜윤, 최진희까지 총 27명이다.
한편 바라선교부는 올해로 창립 11주년을 맞는다. ‘바라’는 히브리어로 ‘창조하다’란 의미이다. 국내외 실력있는 미술작가들이 모여 세상에 그리스도의 문화를 전하기 위해 결성됐다.
김하나목사(명성교회)는 “이들 작품에는 날마다 우리를 새롭게 창조하여 영원한 생명의 나라의 도래로 견인하시는 주의 섭리를 바라는 신앙고백이 담겼다”며, “그리스도의 몸에 참여하는 우리는 자신의 신앙고백을 실제적 고백으로 쇄신시켜야 한다. 그러면서 역동하는 생명성을 다져간 기독교 역사 공동체의 노력에 동참하고자 한다”고 초대의 글을 밝혔다.
◇첫날 오픈식에 많은 기독미술계 관계자들이 방문해 그리스도의 문화를 나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