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반핵아시아포럼에 8개국 참여
반핵·탈핵운동의 연대방안을 논의
◇반핵아시아포럼(NNAF) 한국조직위원회는 우리나라 포함 8개국이 참여해 4박 5일간 일정으로 각국 상황을 공유하며 반핵운동 연대 방안을 논의했다.
한국YWCA연합회 등이 소속된 ‘반핵아시아포럼’(NNAF) 한국조직위원회는 지난 19일부터 23일까지 서울을 비롯한 부산, 울산, 경주, 삼척에서 「2023 반핵아시아포럼」을 열얼다. 「핵을 넘어, 생명과 평화의 아시아로!」란 주제로 열린 포럼은 8개국이 참여해 각국 반핵운동 상황을 공유하고, 탈핵을 위한 주제별의 논의를 가졌다.
이번 첫날 포럼은 명동 가톨릭회관에서 열렸다. 각국에서 참여한 반핵·탈핵 활동가 총 6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한국을 비롯한 대만, 필리핀, 인도, 호주, 베트남, 태국, 튀르키예 등의 반핵운동 상황을 발표했다. 그리고 한반도·동북아 핵 군비경쟁 현황과 과제를 논의하고, 주제별 세미나를 가졌다. 이날 세미나 주제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문제와 대응 △아시아의 핵무기 확산과 평화 △기후위기와 핵마케팅」 등이었다.
동 단체 양기석 공동조직위원장은 “단지 핵발전소 인근에 살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차별과 불평등을 견뎌야 할 이유는 없다. 제대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조차 없으면서 끊임없이 핵폐기물을 양산하는 것은 미래세대의 생존권과 환경권을 무시하는 처사이다”면서, “끊임없이 희생을 강요하는 핵발전을 정의로운 에너지로 바꾸는 것이 우리 시대의 사명이라고 생각한다”고 인사말을 전했다.
일본 사토 다이스케 사무국장은 “핵발전소 수출국 사람들은 수출 상대국 사람들에게 가해자의 입장에 있다”며, “방사능 가해자가 되지 않기 위해 핵발전소 인근 주민, 수출 상대국 주민과 손잡고 싸울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또한 “전 세계 어디에서나 핵발전 산업은 더 이상 유지할 수 없게 됐다”며, “핵무기로 이어지는 기술을 갖고 싶은 지배자들이 SMR 등 핵발전소에 국가예산, 국민세금을 대거 투입하기 시작했다. 그래야 계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이번 포럼 둘째날인 지난 20일에는 재부산 일본영사관 앞에서 핵오염수 투기 반대 기자간담회를 갖고, 대마도 핵폐기장 유치 관련 동향 등을 살펴보는 세미나를 가졌다.
셋째날인 지난 21일에는 울산시청 남문에서 아시아와 한국사회의 탈핵 촉구 공동 기자간담회를 갖고, 고준위폐기물 현황에 대해 논의했다.
또 넷째날인 오늘 22일에는 핵발전소 인근 갑상샘암 소송 현황과 과제를 나누고, 울진핵발전소 앞에서 울진 핵발전 추가 건설 반대 기자간담회를 가진다.
마지막날인 23일에는 서울에서 923 기후정의행진을 가질 예정이다. 패스트파이브 을지로점에서 청년 탈핵활동가둘이 집담회를 가질 예정이다.
한편 첫날 가톨릭회관 로비에서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대한 사진전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핵 발전소의 위험성과 그 피해가 지금도 지속되고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