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학대학교 웨슬리신학연, 「완전성화」 주제로 세미나
경제적 영역의 ‘완전성화’ 추구해야


서울신학대학교 웨슬리신학연구소(소장=김성원교수)는 지난 19일 이 대학과 온라인을 통해 월례 신학세미나를 진행했다. 이번 세미나에선 성화가 개인의 영역뿐 아니라 경제적 영역에서도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날 김성원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세미나에서 전 감리교신학대학교 총장인 김홍기목사가 「기독교인의 완전성화」란 제목으로 발제했다. 김목사는 발제에서 존 웨슬리의 <기독교인의 완전성화>를 번역하면서 자신이 주해한 핵심내용을 소개했다. 그리고 존 웨슬리의 완전성화이해를 「△순수성과 단순성 △사회적 성결 △믿음에서 솟아나는 성결과 사랑 △동적 진행형의 구원과 완전 △작은예수의 완전성결과 완전사랑 △믿음을 온전케 하는 선행 △사랑의 수련과 거룩한 성품 △온전케 하는 경제적 성결」로 설명했다.
특히 「온전케하는 경제적 성결」에 대해 “19세기 미국감리교회 최고 여성지도자로 떠오른 피비 파머는 즉흥적 완전성결을 체험한 것을 간증한다”면서, “1857년 미국감리교회 여성성결운동 지도자로 등장하는데 특히 시카고 지역의 슬럼가를 섬기고 심지어 매매춘이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구조의 문제임을 인식하고 사회적 성결운동을 일으켰다”고 했다.
또한 “창녀들이 회개하고, 거듭나는 회심체험을 했다. 그녀는 한편 웨슬리의 완전과 사회적 성결운동의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부흥운동을 했던 찰스 피니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그의 설교를 통해 고찰하면 그의 생애후기로 갈수록 자기 비움과 자아소유 나눔으로 성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것이 역사적 고찰의 발견이다. 그것은 현대 심리학으로 봤을 때 이기적인 자아에서 참 자아로의 발전이다”면서, “성경적으로 보았을 때 옛 사람에서 새 사람으로의 진보이다. 영성 신학적으로 봤을 때 나 중심에서 하나님중심으로 성숙하는 것이다. 그래서 마침내 하나님의 형상을 이루는 완전 성령충만으로 체험하는 것이다”고 말했다.
논찬을 한 이관수목사(평화감리교회)는 “이 발제에선 완전성화를 작은 예수가 되는 것이라 주해한다. 이러한 설득은 칭의중심의 구원론에 머물고 있는 한국교회 갱신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 발제에선 사회적 성결운동도 은혜의 수단이 된다고 주장한다. 한국교회가 경제적 회개운동과 함께 경제적 성결도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논찬자도 여기에 동의하며 이것이야말로 ‘성경적 구원의 길’이라 확신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