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룟 유다는 스승 예수와의 일대 접전을 작정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것도 ‘목숨을 건 도박’이라고까지 스스로 표현한 그런 접전을…. 유다는 이 땅에서의 자유를 그 누구보다도 갈구하는 인물이었다. 그에게는 이 땅이 하늘나라보다는 몇 백만 배 더 소중한 것이었다. 그래서 그것을 지키기 위해 그는 제 뜻대로 무슨 결심을 실현시키려는 계획을 세워 놓고 있었다. 이런 그 자신의 뜻을 그는 고우(故友) 시므온에게 다음과 같이 털어 놓았다.
“여보게, 시므온. 스승은 너무나 순진해. 이 세상의 악이 얼마나 견고하고 교활하고 뿌리 깊은 것인지를 모르고 있네. 나는 스승을 그 악과 직접 대결시켜 보고 싶었네. 죽느냐 사느냐 하는 절박한 상황에서 말일세. 그러면 사랑이란 얼마나 무력한 것인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겠지.”
가룟 유다는 불가사의한 인물, 곧 신과 같은 인간 예수가 그 자신의 무한한 능력을 왜 유대 민족을 위해 원수들에게 사용하지 않는지 알 수 없어 하였다. 결국 그는 그 수수께끼라도 풀려는 듯 자기 스승을 은 삼십 냥에 대제사장 가야바(안나스의 사위)에게 넘겨주고 말았다. 그리고 이 일이 하나의 계기가 되어 그의 스승이 어떤 행동적 반응을 보일 것을 기대하고 있는 성싶었다. 그러나 가룟 유다의 그러한 기대는 결과적으로 무너지고 말았다.
대신 그가 예상하지도 못했던 예수의 유죄 판결이 결정 나자 그는 전에 받았던 은 삼십 냥을 원주인에게 되돌려줘 버리고 어딘가로 잠적하고 말았다. 예수는 석방을 위한 빌라도의 흥정에서 지고 말아 마침내 십자가에 매달리게 되었다. 이와 거의 같은 시각에 시온의 언덕 골짜기에서도 한 사내가 스스로 목을 매어 죽었다. 가룟 유다, 바로 그 사람이었다. 예수의 운명 장면을 목도하고 나서 시므온은 무엇인가를 깨닫고 있었다. 그는 그 점을 이렇게 술회하였다.
“우리는 비로소 그가 왜 죽음을 향해서 치달아왔는지, 왜 죽음을 수납했는지, 왜 그처럼 불가사의한 일들이 일어났는지, 어떤 놀라운 섭리가 우리들의 역사 속에 개입해 들어왔는지, 그 의미를 어렴풋이나마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타이센의 <갈릴래아 사람의 그림자>에 나오는 첩자 안드레아가 뒤에 서서히 예수의 인격에 동화되어 갔던 것처럼, 백도기의 이 작품 속의 첩자 시므온도 종국에 가서는 예수의 인격에 감화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 것이다. 아니, 한걸음 더 나아가 시므온은 자신이 유다를 책임지지 못하고 죽음에 이르게 한 사실에 대하여 이렇게까지 후회를 한 것이다.
“그를 마지막으로 만났을 때, 억지로라도 그를 이끌고 골고다로 갔었더라면… 그는 스승의 죽음을 통하여 보여준 행동에서 사랑만이 모든 악덕과 불의와 부자유와 고통을 몰아낼 수 있는 영원한 힘임을 깨달았을 것이다.”
예수를 철저히 따라다니던 유다는, 이제 오히려 예수를 잡기 위한 목적으로 침투되었던 한 밀정(시므온)에 의해 심판받는 자리에까지 떨어지게 된 셈이다. 글쎄, 이것도 먼저된 자가 나중 되고, 나중된 자가 먼저 된다는 그 성경 말씀(막10:31)의 원리에 해당될는지? 어떻든 시므온에게도 새로운 열림의 세계가 다가오고 있음은 사실이었다.
여기서 우리는 유다의 ‘정의’와 예수의 ‘사랑’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목도하게 된다. 로마의 극한적 억압 속에서 민족적 활로를 찾고자 노력해온 므나헴의 시카리당이나 기스칼라 요한의 젤롯당의 처지에서 볼 때, 당대의 유대나라가 정의가 매몰된 사회로 인식될 수밖에 없음은 당연하였다. /조선대 명예교수·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