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교실] 신장 이식 (상)
최지윤
신장 이식은 말기신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사구체 여과율이 15~29%로 감소되는 4단계부터는 신장내과 의사의 진료를 받고 투석 혹은 이식과 같은 신장 대체요법에 대해 준비 및 시작을 고려해야한다. 하지만 투석을 시행하더라도 점차적으로 말기신부전은 진행이 되고, 이로 인한 심혈관 병증과 같은 여러 합병증들이 발생하여 사망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신장 이식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공여자는 수혜자와 어떤 조건이 맞아야 할까? 이식을 고려하게 되면, 우선 신장 내과나 이식 외과 진료 후 장기이식센터의 전문 간호사에게 상담을 받게 된다. 공여자가 있는 경우 생체 신장이식을 시행하게 된다. 이 경우 공여자, 수혜자가 충분히 결정할 시간을 준다. 이식 진행을 결정하게 되면 기증자, 수혜자 각각 건강상태에 대한 검사를 시행한다. 또한 사회복지사가 이식대상자와 기증자 간의 서류심사 및 상담을 통해 이식의 순수성에 대한 상담 평가 후 공여자가 이식이 가능하다. 또, 수혜자가 이식을 받을 수 있다고 판단하면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의 승인 후 수술을 진행한다.
우선 공여자와 수혜자 간의 면역학적 일치가 어느정도 되는지 검사를 시행하고, 전신건강상태에 대해 평가한다. 신장 기증자는 만 16세~65세 사이, 신체검사 상 건강한 자로, 신장기증을 자의로 원해야만 한다. 또한 검사를 통해 신장이 해부학적 및 기능적으로 정상인 것이 확인되어야 하며, 당뇨병, 심한 고혈압, 간염, 악성 종양, 정신과적 문제가 없어야 한다. 최근에는 신장기증을 위하여 혈액형이 일치할 필요는 없게 됐나, 조직 적합성 교차 반응 검사에서는 거부 반응이 없어야 한다.
적절한 이식 공여자가 없는 경우 투석을 시작한 후,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에 등록하여 뇌사공여자이식 즉 뇌사자 이식을 기다리게 된다.
가족이나 친척 등이 기증하는 ‘생체 신장이식’도 흔히 이루어지고 있다. 장 한쪽을 기증한 공여자의 경우 일상 생활에 문제는 없을까? 신장 한쪽을 기증한 공여자의 경우에는 한쪽 신장을 기증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약 70-80%까지 기능이 회복된다.
그래서 장기적으로 말기 콩팥질환으로 진행하게 될 가능성은 매우 낮고 수술 후 기대수명 또한 일반인보다 짧지 않다. 대부분의 기증자의 경우 기증을 하더라도 안전하다. 그럼에도 주기적으로 신기능 및 전신상태에 대한 추적관찰은 필요하다.
신장이식 수술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우선 전신마취를 시행 후, 피부는 서혜부에서 우측이나 좌측 하복부를 따라 20∼25㎝ 정도 비스듬히 절제하게 된다. 신장 이식할 위치로 가장 좋은 곳은 장골와 부위이다. 양측 하복부의 서혜부와 방광이 가까워서 이식신장의 동정맥과 요관을 환자의 동정맥과 방광에 연결하기 쉽다.
기증자에서 떼어낸 신장은, 동맥은 동맥끼리, 정맥은 정맥끼리 그리고 요관은 방광에 연결되어 이식된다. 수술은 보통 4시간 가량 소요되나 상황에 따라서 더 짧아질 수도 길어질 수도 있다. 또한 최근에는 환자의 나이나 상황에 따라 적응증이 올 가능성이 높은 경우, 기존의 절개 방법이 아닌 로봇을 이용한 수술도 시행되고 있다. /한양대병원 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