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정서에 맞는 ‘감사절’ 시기는 ?
추석과 그 이후에 드리는 교회들도
추수감사절은 한 해의 수확을 기념하며 하나님께 감사드리는 절기로 한국교회는 10월부터 11월까지 교회마다 지키는 날짜가 제각각이다. 물론 대부분 교회들이 대체로 11월 셋째 주일로 지키는 곳이 일반적이긴 하지만, 이러한 추수감사절의 절기가 교단마다 교회마다 각각 다른 것은 조금은 혼란스럽기도 하다. 이유는 범 교파적으로 따로 정해진 날이 없기 때문이다. 일부 교회들은 미국에서 건너온 미국식 추수감사절의 절기에 연연하지 말고 우리의 정서와 계절에 맞는 추석을 즈음해서 추수감사절을 드리자는 의견이 많고, 이를 실천하는 교회들도 적지 않은 실정이다.
서구권도 미국과 캐나다·유럽의 추수감사절이 달라
◆한국교회의 추수감사절 예배 상황·이미 오래전부터 한국교회는 각각의 신앙과 상황에 맞게 추수감사절 예배를 다른 시기에 드리는 교회들이 생겨났다. 향린교회의 한문덕목사는 “추석은 음력 팔월 보름으로 1년 중 그 어느 때보다도 자연의 수확이 풍성한 때이다. 한국의 명절인 추석과 한국교회의 추수감사절은 그 맥락이 상통하기 때문에 이 시기에 감사절로 지키고 있다”고 말했다, 경동교회 담임인 임영섭목사 역시 “우리 교회도 1974년부터 추석을 추수감사절로 지키고 있는데, 이는 복음의 토착화를 위한 노력의 과정이다”고 했다.
또 숭덕교회(담임=박형근목사)는 11월 첫 주를 추수감사절로 지켜 오고 있는데 그 이유는, 추수감사절과 비슷한 의미를 가진 추석이 대체하기에 좋은 때라고 생각하지만, 성도들이 추석에 고향에 가야 하는 상황을 고려해, 11월 첫 주에 감사예배를 드린다는 설명이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문성모교수(전 서울장신대 총장)는 “예배의식은 문화이고, 문화에는 정답이 없다. 시대와 나라, 민족에 따라 예배문화를 맞추면 된다”며, “복음에 대한 응답은 나라와 시대별로 다른 만큼 추수감사절 역시 한국적이고 우리에게 맞는 방식을 찾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렇게 전통적인 시기를 벗어나 추석 시기에 추수감사절을 지키는 교회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교회들은 전통적인 시기, 즉 11월 세 번째 주에 추수감사절을 지키고 있는 상황이다.
◆추수감사절의 시기에 대한 논의·한국교회는 이미 오래 전부터 추수감사절 시기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1976년에는 교회협 기독청년정책협의에서 “추석절을 한국교회의 추수감사절로 지키는 운동을 전개할 것을 결의“를 했다. 목회자들 역시 추수감사절로 추석 시기를 선호하기도 한다. 주승중목사(주안교회)는 “추석에는 추수와 감사의 의미가 많이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추수감사절을 11월 셋째 주보다는 10월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한다. 김상복원로목사(할렐루야교회)도 “추석이 어차피 추수와 또 모든 가을의 결실을 축하하는 때로서 추석을 추수감사절로 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했고, 박재신목사(은혜광성교회)는 “11월 셋째 주는 너무 추운 겨울 느낌이 들어서 추수감사절은 우리나라 현실에 맞춰서, 10월 마지막 주에 추수감사주일을 지키고 있다”고 전했다.
추수감사주일의 시기를 추석과 연결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도 있다. 즉 한국은 추석을 오래전부터 민속의 날로 지켜왔고, 음력 10월엔 미신이나 고사떡을 돌려 나눠 먹는 풍습이 아직도 시골에는 남아 있어서 기독교의 감사 절기와는 정서적 차이가 있다는 견해이다.
한경호목사(21세기 농촌선교회장)도 실제로 농촌지역에서는 11월 셋째 주에 드리는 추수감사절이 나쁜 것만은 아니라고 한다. 그는 “추석은 첫 수확의 시기이지 완전하게 수확이 끝나는 때는 아니다”고 제시한다. 또 추석에 추수감사절을 기념하면, 한국사회의 전통에 의해 고향으로 귀향하는 전통으로, 도시의 교회들이 텅빈 상황에서 잔치와 행사를 진행하게 될텐데, 이 역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미국식 추수감사절 시기에 이제는 연연하지 말아야
◆추수감사절의 참된 의미 인식이 중요·추수감사절이나 추석의 전통이 생기던 때는 농경사회였다. 지금은 산업시대와 후기산업시대를 넘어 첨단 AI(인공지능)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따라서 ‘추수’의 의미를 현대식으로 재해석해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추석과 추수감사절의 공통점은 신에 대한 수확의 감사와 함께 모여 즐거워한다는 것이다. 농사를 인도하신 하나님에 대한 감사와 함께, 한 해 동안 수고한 가족과 이웃이 모여 그 수확을 나누고 즐기는 것에 의미가 있다.
문제의 본질은 분명한 신학적 입장과 예배의 양식과 내용이다. 한목사는 “설사 시기만 추석 때로 옮기고 예배나 프로그램은 과거와 별다르지 않다면 큰 의미가 없다. 옮겼으면 전통을 살려서 예배에 반영하고 새롭게 해석도 해서 창조적인 절기로 만들어야 의미가 있다”고 강조한다.
박창환박사(전 장신대 총장)도 추수감사절의 시기에 대해 “산업의 변화에 따른 사회적 환경에 맞춰, 교회의 제량에 맡길 것을 제안한다. 하지만 성경이 말하는 추수감사절의 참된 의미를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한국교회는 먼저 ‘감사와 나눔의 문화’를 사회와 주변에 확산해야 한다. 교회 내에 추수감사절 시기에 대한 논란은 자칫 세상으로 하여금 본질이 아닌 것에 몰두해 분열된 모습으로 보일 수 있다. 김영한교수(기독교학술원장)는 “한국교회는 추수감사절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에 의한 참된 감사의 모습과 세상과 이웃을 향해 풍성한 나눔의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전했다. 이 모습이 더없이 참되고 풍성한 추수감사절의 진정한 모습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