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예배는 예수께서 제자들과 함께 나누었던 ‘최후의 만찬’을 ‘성만찬’으로 기념하는 일에서 비롯되었다. 그리고 오늘 우리가 드리는 주일 예배는 안식 후 첫날인 부활의 날로서, 주님이 잡히시던 전 날 밤에 대한 기억과 사흘 뒤에 일어난 부활의 의미가 중첩되어지는 기념의 날로 점차 그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초기 그리스도인들은 예수 부활의 날에 모여서 예수의 살과 피 곧 생명을 나누면서 “나를 기념하라”는 그분의 유언과도 같은 말씀을 지켰던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주일마다 드리는 예배는 과거 사건의 현재화라는 뜻이 담겨져 있다.
마지막 만찬이라는 과거의 사건이 부활이라는 의미로 현재화 되며 이는 다시 오시리라는 미래의 약속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일은 구약 시대 이스라엘 공동체에서 이미 실현되어 왔는데 그들은 홍해 사건과 광야의 경험을 오랜 세월 세대를 거치면서 이어지도록 했던 것이다. 지금까지 철저하게 지키고 있는 민족 절기 특히 유월절이나 무교절이나 초막절은 과거의 사건을 현재화 하고 또 미래로 이어지도록 하는 축전이 되었다.
광야에서의 40년 세월에 대한 기억은 이스라엘 민족을 하나의 신앙 공동체로 묶는 귀중한 원천 자료였다. 이를 통해서 후손들은 그들의 조상들이 어떻게 하나님을 알고 믿게 되고 따를 수 있었는지 그리고 자신들은 또 어떻게 이를 이어받으며 실행해야 하는 지를 절기를 지킴으로서 터득할 수 있었다. 출애굽기와 민수기가 과거의 사건을 기록한 것이고 레위기와 신명기는 이를 어떻게 기억하고 재현해야 하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라면 시편은 축제의 현장에서 울려 퍼진 감사의 노래였다. 시편 기자는 시와 노래로 이렇게 하나님을 찬양했다.
“여호와께서는 강이 변하여 광야가 되게 하시며 샘이 변하여 마른 땅이 되게 하시며”(시편 107:33)
“또 광야가 변하여 못이 되게 하시며 마른 땅이 변하여 샘물이 되게 하시고”(시편 10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