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전통과 신앙 속에서 일치를 추구키로
한국 신앙과 직제협서 일치 기도주간
한국 신앙과 직제협의회(공동의장=김종생총무·이용훈주교)가 진행하는 그리스도인 일치 기도주간이 지난 18일부터 25일까지 「네가 이것을 믿느냐」란 주제로 진행됐다. 기도 주간에 참석자들은 다양한 전통과 신앙 속에서 일치를 추구하는데 앞장서기로 했다.
올해 일치주간의 자료집은 이탈리아 북부 보세 수도승 공동체가 준비했다. 성경본문은 요한복음 11장 17절에서 27절이다. 이번 기도주간에서는 니케아 공의회의 1700주년을 기념하면서 니케아 공의회의 신앙신조를 통해 공통의 신앙을 깊이 반추하고 축하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올해 일치주간은 이러한 니케아 신조의 핵심진술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세상을 다스리시는 하나님의 돌보심 △하나님의 작품인 창조세계 △예수님의 갱생 △유월절 신비: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과 부활 △생명과 기쁨을 주시는 분이신 성령 △믿는 이들의 공동체인 교회 △주님의 죽음과 부활에 동참하는 세례 △주님 나라와 영원한 삶을 위한 기다림」이라는 기도제목으로 기도했다.
한국 신앙과 직제협의회는 지난 18일 그리스도인 일치기도주간 공동담화문을 통해 “2025년 그리스도인 일치기도주간 자료집은 이탈리아 북부의 보세 수도공동체의 남녀 수도자들이 준비했다. 올해는 최초의 보편 신앙고백이 완성된 지 1,700년이 되는 해이다. 서기 325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인근의 니케아라는 작은 도시에서 열린 공의회에 318명의 교부들이 모여서 머리를 맞댄 결과, 니케아 신경이 만들어졌다”면서, “니케아 신경은 이렇게 시작합니다. ‘저희는 (...) 믿습니다.’ ‘나’의 ‘믿음’과 ‘당신’의 ‘믿음’이 동일하다는 의미이다”고 말했다.
또한 “2025년 그리스도인 일치기도주간을 맞이한 우리는, 가슴이 너무나도 아프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팔레스타인에 대한 이스라엘의 학살, 그리고 12.3 비상계엄 이후 이어지고 있는 일련의 사태들. 너무나도 어려운 사회적, 경제적 상황은 마치 이제 우리 인류에게는 ‘더 이상 희망이 없다’는 심판의 소리처럼 다가온다”면서, “1,700년의 시공간을 초월해 2025년 믿음의 공동 유산에 초대받은 그리스도인 일치기도주간을 통해 켜켜이 쌓아온 우리의 하나 된 믿음과 실천이 혼동과 갈라짐의 시대 속에서 평화와 생명의 길을 여는 기적이 되길 간절히 기도한다”고 고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