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구와 영성의 문제, 신앙성숙 방향을 제시
김성경소장의 「크리스천 욕구코칭」 화제
욕구코칭연구소 김성경소장(사진)의 〈크리스천 욕구코칭〉은 저자가 그동안의 욕구코칭 경험과 연구를 바탕으로 집필한 책이다. 지난 욕구코칭 단행본은 자기이해, 교사, 학생, 학부모에 초점을 맞춘 책이라면, 이번 책은 욕구와 영성과의 문제, 욕구별 신앙성숙 방향, 교회 안에서 갈등과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둔 책이다.
교회 안에서 갈등과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중점
기독교인으로서 내면 욕구·행동을 이해하도록 돕고
행동의 근본원인은 욕구이다. 행동 속에 감정이 숨겨있고, 감정 너머에 욕구가 숨겨 있다. 욕구를 알면 자기 행동과 내면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행동과 내면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그러함에도 기독교계에서 욕구를 다룬 책은 많지 않았다. 행동하게 하는 힘인 욕구를 제대로 다룰 수 있어야 자기이해와 관계이해 및 용납과 소통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욕구코칭」 후속편으로서 기독교인으로서 내면의 욕구와 행동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저술되었다. 첫째, 기독교인은 이래야 한다는 당위가 아니라 행동하게 만드는 욕구를 이해하면서 나에게 맞는 맞춤형 성숙의 방향을 안내하는 책이다. 특히 5가지 기본 욕구인 생존, 사랑, 힘, 자유, 즐거움의 욕구 유형별로 신앙성숙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둘째, 공동체 속에서 이해되지 않는 지체들의 모습을 이해하고 수용하도록 돕고 있다. 교회의 여러 관계 속 삐걱이는 관계를 이해하고 서로 다른 각 사람에게 적절한 맞춤형 대처법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준다. 특히 자유의 욕구로 가득한 청소년과 청년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는 욕구에 대한 부정적인 기존 이미지를 극복하고, ‘행동하게 만드는 힘’인 욕구를 성경적으로 바르게 이해하고 다룰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죄와 우상, 그리고 욕구와의 관계를 정리하면서 욕구와 신앙과의 관계를 통해 내면적 갈등을 어떻게 풀어가야 할지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한다.
또 전국의 수많은 이들을 만나면서 욕구코칭에 대한 실천적 경험을 바탕으로, 선교단체의 성경연구 훈련, 신학대 상담대학원 상담심리학 박사과정에서 배우고 연구한 이론을 정립하였다. 신앙적 내면 갈등을 욕구 관점에서 새롭게 접근하고 있다. 욕구를 알면 감정을 이해할 수 있고, 다른 사람의 행동도 해석이 되어 참된 평화를 세우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신앙적 성숙과 내면 성찰을 고민하는 기독인들에게 나침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욕구코칭은 그 사람이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이유를 알게 하도록 제시한다. 즉 사람을 보는 관점의 전환을 불러온다. 이해하고 바르게 해석하게 하는 것이다. 결국 변화는, 관점의 변화에서 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갈등이 올 때도 ‘너 때문’이 아니라 ‘나의 어떠함과 다른 사람의 어떠함이 부딪히는 것’으로 보게 되니 남 탓을 하지 않게 되기도 한다. 상대방을 문제라고 여기면 화가 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다름이라는 관점으로 보면 화가 나지 않게 된다.
관점전환은 사람을 변화시키는 도구이며, 그 도구로 욕구가 적절함을 보도록 한다. 욕구코칭을 하면서 오랜 고민이 해소되었다. 욕구는 행동하는 이유이기에 행동을 보면 욕구를 추측할 수 있다는 면에서 근원을 파악할 수 있는 도구인 것이다. 발달단계 속에서 변화되는 모습도 욕구로 이해할 수 있기에 어느 시기의 누가 사용해도 무방한 도구이다.
성경은 관계에 관심이 많다. 관계 속에서 필요한 말씀들을 주셔서 적용이 가능하지만, 각각 다른 상황에서 겪는 문제들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몰라 문제가 불거지는 경우도 많다. 신앙이 좋다는 사람도 관계는 어렵고, 세상에서는 존경받으나 가족관계에서는 원망을 듣는 사람들도 많다. 서로 이해하지 못해 갈등하다가 갈라서는 부부도 교회 내에서 종종 볼 수 있다.
욕구코칭은 관계, 즉 서로 이해하는 방법과 소통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도구이다. 말씀을 관계에 적용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욕구를 말씀 안에 계속 비추어 보고 욕구로 말씀을 보는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실제로 욕구코칭이 말씀 적용에 도움을 주는 도구임을 발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