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산책]한강,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선 시적 산문(8)
기독교문화예술원 안준배원장
피를 많이 흘렸으니까 그걸 마셔야 동생이 살 거란 생각에. 얼마전 앞니가 빠지고 새 이가 조금 돋은 자리에 꼭 맞게 집게손가락이 들어갔대. 그 속으로 피가 흘러들어가는 게 좋았대. 한동안 동생이 아기처럼 손가락을 빨았는데, 숨을 못 쉴 만큼 행복했대. (250-251 쪽)
인선의 엄마는 막내 동생이 어멍 아방은 숨 끊어져 옆에 누워 있고, 심부름 간 언니들이 돌아와서 저를 구해준 거라 생각했을 거라고 말했다.
인선의 엄마 정심이가 모아둔 상자안엔 신문 조각들이 흩어지지 않도록 누군가가 회색 무명실로 가로로 둘러 묶고 리본 매듭을 지어 있었다. 청색 볼펜으로 적힌 숫자 ‘1960.7.28.’과 ‘E일보’에는 흑백 보도사진 속 광장에 모인 수 백 명의 모습이 박혀 있다. 대부분 흰옷을 입고 깃발을 든 사람들도 보인다. 그들이 바라보는 쪽에 걸린 플랜카드에 붓으로 씌어진 한자 ‘경북 지구 피학살자 합동 위령제’
경북 지역 보도연맹원 1만여 명
대구형무소 1천5백 명 재소자
경산 코발트 광산 및 인근 가창골
학살자 유해 수습 발굴
4.19 혁명 정신에 입각하여 피학살자 및 피해자 실태조사회를 운영하고 있으니 피해 유가족들은 낡은 공포심을 극복하고 본회 조사 사업에 적극적인 협조를 바란다는 기사이다.
인선의 엄마는 학교에서 배웠던 대로 획을 사십오도로 꺾어서 날자와 E일보를 필압이 높은 글씨로 표시했다.
경하는 1948년 11월 중순부터 석 달 동안 중산간이 불타고 민간인 삼만 명이 살해된 과정을 그 오후에 읽었다. 3월에 임명된 사령관은 빗질하듯 한라산을 쓸어 공비를 소탕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효율적인 작전 수행을 위해 먼저 민간인들이 내려오도록 삐라를 뿌렸다. 아이들과 노인을 등뒤로 숨기고, 총에 맞지 않기 위해 흰수건을 나뭇가지에 묶어 들고 내려오는 남녀들의 행렬이 자료 사진으로 실려 있었다.(263쪽)
처벌하지 않겠다던 약속과 달리 수천 명이 체포되었다. 인선의 엄마와 이모는 주정공장으로 찾아가서 외삼촌을 만났다. 정심의 오빠는 열두 시간 가까이 밤배에 실려 목포항에 도착했다. 외삼촌의 편지가 당숙네로 처음 배달된 건 1950년 3월이다. 그 편지에 인선의 엄마 정심은 답장을 써 보내고 외삼촌이 5월에 다시 보낸 편지를 정심은 반짇고리 함 뚜껑 안쪽에 감쪽같이 꿰매져 감춰두었다.
다음달에 전쟁이 터졌고 편지는 더 이상 오지 않았다. 1954년 5월, 휴전되고 나서 두 자매가 함께 대구형무소를 찾아갔다. 그곳에 인선의 외삼촌은 없었다. 사년 전 7월 진주로 이송됐다는 기록만 남아 있었다. 바로 가는 차편이 없어서 역전 여인숙에서 하룻밤을 묵고 날이 밝는 대로 진주로 가서 버스를 타고 다시 형무소를 찾아갔다. 그곳에도 정심의 오빠는 없었다. 이감 기록도 존재하지 않았다. 진주에서 하룻밤을 더 묵은 뒤 두 자매는 여수항으로 갔다. 인선의 엄마에게 이모가 말했다. “포기하자고. 오빠는 죽었다고. 진주로 이감했다는 날짜를 기일로 하자고.”
그해 경북 지역에서 죽은 보도연맹 가입자가 만 명이다. 전국에서는 최소한 십만 명이 죽었다. 1948년 정부가 세워지며 가족단위로 좌익으로 분류돼 교육대상이 된 이들이 1950년 6.25 전쟁이 터지자 명단대로 예비검속되어 총살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