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산책]한강,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선 시적 산문 (11)
안준배 기독교문화예술원 원장
작가는 세 여성의 시각으로 칠 년에 걸쳐 서사했다. 정심은 학살에서 살아남은 뒤 오빠 정훈의 뼈 한조각이라도 찾아내 장례를 치르고자 싸웠다.
작가는 인간성의 바다 아래로 계속 내려가서 마침내 심해의 바닥에서 촛불을 밝혔다. 정심이 그녀의 오빠 정훈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것은, 이별을 짓지 않음은 지극한 사랑인 것이다. 불어 번역 제목처럼 불가능한 작별Impossibles adieux이다. 제주 4.3의 피해자들은 한강 작가에 의해서 죽음에서 삶으로 건너간 것이다. 4.3 은 사랑이 고통으로 이어져 죽은 자가 산 자를 구한다는 시적 서사이다. 한강의 <작별하지 않는다>는 누구에게나 사랑이 얼마나 무서운 고통인 지를 알게 한다. 작가는 얼마나 사랑해야 우리가 끝내 인간으로 남을 수 있는지를 묻고 있다.
오월 광주, 소년이 온다.
한강의 <소년이 온다> 의 영문 제명이 휴먼 액츠 Human Acts 로서 소년 동호의 넋이 온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등장인물 동호 정대 정미 은숙 선주 진수는 인간이라는 폭력 앞에서 무력하게 무너진 것처럼 보인다.
1986년 5월 18일부터 28일 까지 열흘 간 자행된 국가 권력의 무자비한 폭력 행위 앞에서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한강 작가는 묻고 있다. 인간이 무엇이기에. 이제 와서 인간을 믿을 수 있고 또 인간적 삶을 껴안을 수 있는가를 묻는다.
어린새 동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한강은 ‘광주의 열흘’ 간 벌어진 잔혹한 학살의 참상과 정면으로 마주한다.
어린 새, 동호는 좋은 말로 할 때 들어 당장 집에 들어와
동호는 단단히 화가 나 있던 작은형의 목소리를 털어 내버리고 상무관에 있는 관을 지킨다. 동호는 장부에다 그들의 이름과 관 번호를 덧붙여 쓴뒤, 긴 괄호로 목록을 묶고 ‘합동추도식 3’ 이라고 적었다. 다음 추도식을 할 때 같은 관이 또 나가지 않으려면 잘 기록해 둬야 한다고 진수 형이 당부했기 때문이다.
애국가가 끝났는데도 아직 관이 정리되지 않았나보다. 군중의 웅성거림 사이로 누군가 울부짖는 소리가 희미하게 들린다. 시간을 벌기 위해선지, 마이크를 쥔 여자가 이번엔 아리랑을 부르자고 한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임은 십리도 못 가서 발병난다
울음소리가 잦아들 즈음 여자가 말한다. 먼저 가신 임들을 위해 묵념합시다.
수천사람의 웅성거림이 일제히 멎은 순간, 주변의 정적이 갑자기 도드라지게 느껴져 너는 놀란다. 함께 묵념하는 대신 일어선다. 옆구리에 장부를 끼우고, 반쯤 열어 놓은 상무관 출입문을 향해 계단을 오른다. 바지 주머니에서 마스크를 꺼내쓴다.
초를 태워도 아무 소용 없네.
냄새를 견디며 너는 강당에 들어선다. 날이 흐려 실내는 마치 저녁 무렵 같다. 출입문 쪽으로는 추도식을 마친 관들이 가지런히 모여 있고, 아직 가족이 나타나지 않아 입관을 못한 서른 두 사람의 몸들은 흰 무명천에 덮인 채 넓은 창 아래 누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