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회가 위기 속에 있다”는 인식은 더 이상 말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한국 사회에 팽배해 있다. 단순히 성도수의 감소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영적 영향력을 입히는 본질적 모습이 퇴색되어 가고 있음에 심각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이런 시대적 상황 속에서 한국 교회가 나아갈 길을 데살로니가교회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데살로니가 공동체는 “하나님의 택하심을 받은 자”라는 영적 정체성을 분명히 하고 거기에 걸맞는 삶의 열매를 사실적으로 맺었다. “믿음, 소망, 사랑, 그리고 감사”의 열매였다.
바울은 먼저 믿음의 역사를 언급한다. 여기서 역사는 history가 아니라 work다. 우리의 믿음은 추상적 믿음이 되어서는 안 된다. 믿음에는 반드시 역사가 나타나야 한다. 열매가 맺혀야 한다는 것이다.
종교개혁가 마틴 루터(M. Luther)는 믿음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타오르는 불꽃에서 열과 빛을 분리할 수 없듯 신앙생활에서 믿음과 행함은 분리할 수 없다.” 구원은 절대 우리의 행함과 상관이 없지만, 구원받은 이후의 삶은 행함과 직접적 연관이 있다.
둘째로 사도 바울은 사랑의 수고가 있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여기서 ‘수고’는 헬라어로 ‘코포스’라고 하는데 “어떤 일을 행할 때에 필요한 엄청난 수고”를 뜻한다. 마치 아기를 낳을 때 산모가 진통을 겪는 것과 같은 수고가 뒤따른다는 것이다.
희생과 헌신 없이는 아가페 사랑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 이 단어는 “계속해서 경주하는 노력”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사랑의 수고는 한 번 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랑이 바탕을 이루고 있어야 가능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택함받은 자가 맺어야 할 열매는 소망의 인내다. 여기에서 소망은 장차 오실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소망이다. 주의 날을 기다리는 소망이 있기 때문에 그 어떤 역경 가운데서 우리가 인내할 수 있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께 소망을 두는 사람은 결코 좌절하거나 낙망하지 않는다. 어떤 환경 속에서도 영생의 소망을 가진 자는 감사의 자리로 나아가게 되어 있다. 한국 교회가 이처럼 데살로니가교회가 보여준 믿음의 역사와 사랑의 수고와 소망의 인내라는 열매가 풍성히 맺혀지는 감사의 복음 공동체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예원교회 담임, 예장 개혁측 증경총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