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적인 믿음은 낙심할 일이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일이 일어날 것을 아신 예수님은 낙심할 일을 경계하도록 가르치셨다. 한 과부가 그의 억울한 일로 인해 재판장을 찾아간 일을 비유로 들으셨다. 이 과부는 불의한 재판장임에도 불구하고 자주 간청한 결과 그 문제를 해결 받게 된다.(눅18) 우리의 삶 속에서도 낙심할 일을 당할 때 주님께 나와 기도하게 하셨다. 지속적인 기도는 믿음을 후퇴케 하는 낙심을 방지한다.
우리의 보배이신 주님을 모신 자들은 낙심치 않는 아름다운 직분자들이다. “항상 예수를 위해 죽음에 넘겨져도”(고후4:11) 낙심치 않는 이유는 예수의 생명에 참여하는 길임을 알기 때문이다. 사망의 세력으로 인해 낙심하지 않게 하셨다. 예수를 살리신 하나님의 능력이 우리도 살게 한다는 믿음에 있다. 우리의 직분이 부활 생명을 나타냄에 있음을 알 때 낙심할 일은 제거된다.
“답답한 일을 당하여도 낙심하지”(고후4:8)않는 일은 영적인 아름다움이다. 현실을 주목하는 자들은 매번 낙심할 일로 인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지 못한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 주님의 사역을 주목하는 자는 주님께 영광을 돌리게 된다. 주님께서 다시 살리실 것을 믿기 때문이다. 선을 행할 때도 포기하지 않는 영성이 필요하다. 이는 낙심할 일을 극복하는 능력이 되기 때문이다.(갈6:9) 크나큰 낙심의 문제는 우리를 “위로하시는 하나님”(고후7:6)의 위로를 받게 하셨다. 지체가 서로 협력하는 관계 속에서 위로하는 하나님이 계신다.
우리의 믿음이 피곤하여 지치면 낙심할 일이 발생한다. 피곤해진다는 것은 영적 탄성인 회복력을 잃을 때이다. 영적인 탄력은 우리의 속사람을 날로 새롭게하는 힘이다. 이러한 탄성을 회복하지 못할 때 신앙의 침체기가 오래 지속될 위험이 따른다. 이를 위해 성경은 거역한 자를 참으신 주님을 바라보게 하셨다. (히12:3) 오래 참으신 주님을 기억하기만 해도 우리는 낙심할 일에서 건짐을 받을 수 있다.
징계받는 일을 우리의 직분으로 생각할 때 우리의 신앙은 이미 참 아들의 인격에 참여하게 된다. (히12:5) 피 흘리기까지 싸워보지 않고 낙심하는 건 영적인 아름다움을 잃어버린 결과이다. 성경은 기도와 포기하지 않는 마음과 참으신 주님을 기억하는 일이 영적 회복력임을 알게 하셨다. 낙심할 일이 평강의 열매를 거두게 되는 길이다. 이것은 참으로 아름다운 믿음인 성령의 장치인 것이다./대전반석교회 목사·수필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