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광교회 박용옥목사 "내가 죽어야 성령이 오셔서 일하신다"
3개 십자가 목회로 그리스도의 골고다 언덕의 신앙 회복

“한국교회에서 나를 위해 죽으신 예수는 잘 전해지고 있으나, 예수와 함께 내가 죽은 십자가는 희미하다.”
1982년 12월 목회를 시작하여 건강악화로 생사를 오가는 순간 속에서 끊임없는 기도와 간구로 대광교회를 섬기고 있는 박용옥목사(대광교회 담임, 세계선교연대총회 총회장)의 말이다.
“하나님께서 루디아를 보내줄테니 개척하라고 하셔서 무작정 개척교회를 시작했다”고 웃으며 말하는 박목사의 모습에서 젊은이와 같은 복음에 대한 순수한 열정이 느껴졌다. 소탈하게 웃는 모습과 달리 박목사의 목회시작은 쉽지 않은 여정이었다.
신학교 3학년 때 구로동에서 교회를 개척했으나 건강악화로 쓰러지면서 사역을 접게 됐고, 이후 4학년을 졸업하며 성남에서 간신히 다시 목회를 시작했으나 이후 병마와 싸우며 경제적 어려움까지 가중된 상황에 치열한 내적충돌까지 큰 고통의 시간을 보냈다.
이후 목회를 내조했던 강숙희사모가 어려움 속에서 하나님께 은혜를 간구하던 중 ‘마흔살까지 참으라’라고 하신 하나님의 음성을 듣게 됐고, 박목사가 마흔살이 되던 해 기도원에서 역사적 사건을 경험하게 된다.
하나님은 기도하던 박목사에게 “목사가 둘인데 7장과 8장 목사가 있다”고 말씀하셨고, 박목사는 무엇을 의미하는지 몰라 성경을 읽으며 로마서 7장과 8장에서 그 해답을 찾았다. 수없이 반복하며 읽었던 성경에서 발견한 것은 7장에서 갈등하던 바울이 8장에서 역전된 모습으로 변화된 것이었다.
박목사는 “당시 로마서 7장에서 보였던 바울의 모습이 바로 내가 하려던 모습이었다”며, “모든 주인이 나였다. 그러나 8장을 읽었을 때 내가 없어진 자리에 성령이 오신 것을 발견하고 내가 죽어야 성령이 오셔서 일하신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고 말했다.
또 “당시 평생 전해야 할 복음의 근거를 발견했고, 자유의 복음을 전하라는 응답을 받게 됐다”며, “교회의 규모와 상관없이 행복한 목회자가 되는 비결이었으며, 설교 가운데 성도들을 갈등으로부터 해방시키고 복음에 초점을 맞추도록 인도하셨다”고 고백했다.
세계선교연대총회 총회장으로 매년 10~15번 세계 각국으로 선교 활동 활발
박목사는 선교에 대한 열정도 남다르다. 초창기 교회가 IMF로 부도가 나면서 교회가 망하겠다는 절박함으로 하늘을 바라봤던 박목사는 김포공항 방향으로 날아가는 하늘의 비행기를 보며 세계선교에 대한 생각을 처음 시작했다고 한다.
“교회가 무너지는데 언제 선교를 떠날 수 있겠는가?” 박목사는 당시를 회고하며 “하나님께서 그러한 생각을 기쁘시게 받으신 듯 하다”며, “이후 20년간 매년 10~15번 선교를 나가게 됐다”고 말했다. 또 “중국과 베트남, 태국, 미얀마, 필리핀, 인도네시아, 일본 등 수많은 나라에 선교를 하고 갈 때마다 뜨거워지는 갈망이 더욱 커졌다”면서, “하나님께 보내주는 자유함을 더욱 깨달으면서 꾸준히 선교사역을 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박목사는 “교회의 외적인 규모와 상관없이 담임목사의 의식 속에 자신이 선교사라는 의식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며, “한국교회 목회는 대접받는 목회다. 내가 선교사라는 생각을 갖게 되면 내가 현장에 직접가면 섬기는 목회가 되고 겸손해진다”고 설명했다.
한편 대광교회는 올해 주제를 「하나님을 기쁘시게! 사람에게 칭찬을!」로 정했다. 성령안에서 의와 평강, 희락을 강조하는 박목사의 목회철학과 하나님이 나를 통치하시는 것이 바로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는 것이라는 본질회복에 교회의 목적을 두었기 때문이다.
특히 박목사는 ‘박에스라’라고 하는 본인의 성호처럼 에스라서 7장 10절에 에스라가 하나님의 말씀을 연구하고 적용하여 준행한 것을 따르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자녀들도 이러한 아버지의 목회정신을 이어받아 슬하 3녀 중 첫째 박은혜양(미국 LA퓰러 선교학 박사과정)와 둘째 박양선양(전도사)은 신학을 공부하고 있으며 셋째 박래용양은 유치원교사로 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