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토에 떨어지는 작은 생명이고저……
흠도 티도,
금가지 않은
나의 전체는 오직 이뿐!
더욱 값진 것으로
드리라 하올 제,
나의 가장 나중 지니인 것도 오직 이뿐!
아름다운 나무의 꽃이 시듦을 보시고
열매를 맺게 하신 당신은,
나의 웃음을 만드신 후에
새로이 나의 눈물을 지어주시다.
-「눈물」의 전문
이 시는 김현승 자신이 말하는 그의 대표작이다. 6·25 전쟁후 서정주시인이 광주에서 발간한 〈시정신(詩精神)〉 창간호에 발표되었다. 그의 시작품중에서도 자신의 마음에 드는 것은, 「눈물」일 것 같다고 겸손하게 말하기도 했다. (산문집 〈고독과 시〉 -「고요한 면을 지닌 눈물」- 나의 처녀작과 대표작). 이 「눈물」은 짙고 견고한 기독교정신을 형상화한 시로 평가되고 있다.
이 시는 〈예레미야 애가〉를 연상시키고 있다. 예레미야는 눈물의 선지자였으며, 사역을 감당하는 동안 눈물이 마를 날이 없는 사람이었다. 예레미야는 “내 눈에 흐르는 눈물이 그치지 아니하고 쉬지 아니함이여, 여호와께서 하늘에서 살피시고 돌아 보실 때까지니라”(3장 49절~50절)처럼, 눈물의 선지자였기 때문이다. 이 시의 ‘눈물’은 〈예레미야 애가〉의 죄지은 자의 눈물이 아니라, 현세적 고뇌를 신앙적 시련으로 받아들이는 성숙한 신앙인의 모습을 담고 있다.
김현승은 산문집 〈고독과 시〉에서 “이 시의 기저에는 기독교정신이 깔려 있다. 이 시는 내가 그렇게도 아끼던 나의 어린 아들을 잃고 나서 애통해 하던 중 어느날 문득 얻어진 시다. 나는 내 가슴의 상처를 믿음으로 달래려고 하였었고, 그러한 심정으로 이 시를 썼었다. 「인간이 신 앞에 드릴 것이 있다면 그 무엇이겠는가. 그것은 변하기 쉬운 웃음이 아니다. 이 지상에 오직 썩지 않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신 앞에서 흘리는 눈물뿐일 것이다」라는 것이 이 시의 주제라고 할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시는 눈물을 좋아하는 나의 타고난 기질에도 잘 맞는다”(「굽이쳐가는 물굽이 같이-나의 시, 그 변모의 과정」에서)라고 적고 있다.
이 시의 ‘눈물’은 김현승 자신의 비애의 심정으로 축출된 맑고 깨끗한 산물이다. 사랑하는 자식을 잃은 슬픔에서 얻은 ‘눈물’을, 맑고 깨끗한 ‘생명의 눈물’로 창조한 것이다. ‘눈물’은 생명 혹은 거듭남의 삶을 상징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신앙의 힘이다. 현세적 삶을 신앙의 힘으로 극복한 거듭난 자의 삶이다. 슬픔과 분노와 좌절의 눈물이 아니라, 하나님께 드리는 순결의 눈물로 승화시켰다. 신앙의 윤리적 삶에서 비롯된 거듭난 자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어린 자식의 죽음을 자신에게 내려지는 형벌로 순종하고, 하나님께 감사와 찬양의 눈물을 드리는 고백적 기도이다. 이 시는 순결을 지향하는 참회의 심정을 노래했다. 이 시의 바탕에는 깨끗하고 맑은 신앙의 마음이 승화된 고요한 정서를 담고 있다. 하나님께 가장 깨끗한 것을 드리고자 하는 신앙의 정성이 형상화되었다.
이러한 이 시는 제1연과 2연은 ‘눈물’에 대한 가치성을 부여하고 있다. 제1연은 옥토에 떨어지는 작은 생명의 씨앗으로 표현하고, 제2연은 흠도 티도 없고, 금가지도 않는 가장 깨끗한 것이라고 말한다. 제3연과 4, 5연은 하나님께 드리는 ‘눈물’에 대한 설명이다. 제3연과 4연 1행은 하나님께서 더욱 값진 것을 요구해도 ‘눈물’뿐임을 고백한 것이다. 제4연 2행과 3행, 그리고 제5연은 하나님의 섭리, 즉 창조성에 대한 신앙이다. 특히 마지막 행인 “새로이 나의 눈물을 지어 주시다”는 하나님 앞에서 참회할 수 있는 자각에 대한 ‘눈물’이며, 부활의 정신을 상징한 생명성을 부여했다.
/시인·한국기독교문인협회 전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