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9(금)

한국Q학회서 어록자료연구 발표

예수말씀 연구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19.12.19 14:11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20톱교체.jpg

 

한국Q학회는 이번 세미나에서 예수말씀에 대해 전반적으로 발표했다. 무엇보다 로마제국의 젠더 이데올로기가 지배적인 사회 속에서 초기 기독교의 여성은 어떻게 리더십에 참여하게 되었는지를 살피는 파트는 많은 흥미를 자아냈다.

 

동 학회는 “특히 주후 2-3세기까지 로마 제국에서 기독교는 정부가 인정하지 않는 비공식적인 신흥종교이기 때문에 아직 공인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기독교 공동체가운데 여성의 활동은 그 당시 로마시대의 관료주의 제도권 밖의 종교현상처럼 여겨져서 여성이 기독교가 부흥해 가는데 있어 비교적 자유롭게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며, “기독교의 핵심인 자유와 평등의 메시지를 들은 여성 지도력이 예수 구원의 메시지를 전파하기 위해서 자신의 가정을 예배처소로 내어 주고 그곳에서 지도자로서 활동함으로써 교회들이 로마제국의 광활한 영토 여기저기서 일어나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이렇듯 3-4세기까지 기독교는 사적인 종교로써 여성 리더십을 인정하였다. 그렇지만 “여성학자들이 주장하듯이 대부분의 현대의 기독교 성도는 초기교회의 발전에 이런 여성들이 기여하고 있었다는 역사적 사실에 대해서 잘 알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특히 초기교회 운동을 현대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려 한다면 큰 오류를 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즉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초기교회 즉 가정교회에서 여성이 현대적인 개념의 성직자로 섬겼던 것”이 아니다. 그래서 “가정교회 안에서 아직까지 여성 지도자들의 활동은 로마사회에서 강조된 젠더 역할을 준수하면서 주로 하나님의 가정을 돌보는 지배인, 혹은 후견인과 같은 역할을 하기도 했다. 5세기까지 여성들은 예언가, 순교자, 금욕주의 교사, 및 수도원 설립자 등의 역할들을 통해서 지도력을 감당하며 기독교 운동들을 일으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

동 학회는 기독교 여성 리더십의 등장을 통해서 고대 로마제국에서의 젠더의 역할 및 초기교회가 어떻게 발전하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고 전했다. 특별히 “로마제국의 특권층에 속한 많은 남성들이 기독교에 입문하게 됨에 따라서 기독교를 정식종교로 공인화되는 과정에서 로마 종교의 구조들과 체계들이 도용되었다”며, “결국 밀라노 칙령으로 기독교의 공인화가 이루어지면서 그동안 기독교에 행해졌던 공식적인 핍박은 종료되었고 종교의 자유가 주어졌지만, 기독교는 교회의 제도화와 제국화를 통해서 여성 리더십에 대한 억압은 더 체계화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렇듯 공인된 종교로서 기독교가 제도화되는 과정에서 여성 리더십은 더욱 제한을 받게 되었다. 즉 “남성중심의 공적인 영역에 여성이 지도자로 참여하여 그 당시 젠더역할에 관한 사회적인 통념을 깨뜨리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 많은 교부 신학자들이 교회를 제도화시키는 과정에서 여성 리더십 참여를 반대하는 글들을 쓰기 시작했다”고 동 학회는 제시했다.

 

예를 들면 3세기에 기독교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여성이 교회 지도자로 공적인 영역에 참여하는 것을 불편하게 여긴 남성지도자들이 교회 조직에 대한 지시서인 디다스칼리아(Didascalia)를 작성하여 남성 주교들의 역할을 교육, 설교, 세례, 성례전 집행 등으로 합법화했다. 토저슨에 따르면, 이 지시서에서 주교의 중앙집권 체제하에서의 목회 사역을 합법화시킴으로써 교회 사역에서 과부의 목회 사역을 제외시키고 “권위적인 것, 상위적인 것, 특권, 명예”와 관련된 예언적인 역할에서 여성을 제외시키는 등의 교회 사역에서 여성 리더십 참여를 제한시키는 것을 공식적으로 합법화하게 되었다.

 

동 학회는 “이렇듯 로마시대 젠더 이데올로기와 기독교의 제도화 과정은 여성 리더십을 계속 제한하는 방향으로 여성의 성직자 안수를 제한할 뿐 아니라 기독교 역사 속의 여성 리더십을 왜곡했다”고 설명했다.

태그

전체댓글 0

  • 95578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한국Q학회서 어록자료연구 발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