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6-09(금)

온누리교회와 이재훈목사

‘토요일’과 ‘일요일’에 주일예배 드린다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3.03.07 08:27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PNG

온누리교회 이재훈목사가 최근 토요주일예배를 통해 예배당 건축문제를 해결해 화제가 되고 있다(사진은 온누리교회 전경).


‘코로나19’시기부터 ‘토요주일’이란 개념을 도입해 시작
2188명의 선교사를 각 나라에 파송·77개국 876명 지원

 

 

13-이재훈.PNG

 

 

 

 

 

 

 

 

 

 

 

 

 

고 하용조목사가 개척한 온누리교회(담임=이재훈목사·사진)는 2대 이재훈 담임목사가 사도행전적 교회의 비전을 계승 및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최근 한국교회 최초로 이목사는 코로나19의 시기에 토요주일 예배란 아이디어로 예배당 건축문제를 해결했다. 한국내 많은 교회들이 교회 예배당 건축문제로 갈등이 발생해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이목사의 아이디어가 주목받고 있다.


‘토요주일’로 ‘일요주일 주차문제’ 해결

 

이목사는 주일이란 개념에 대해 일주일 중 하루를 집중해 예배드리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이목사는 “원래는 휴일이 없었다. 그래서 콘스탄티누스 왕 이전에는 토요일 저녁과 일요일 오전에 예배를 드렸고, 유대전통이 남아 있던 자들은 토요일 오후 6시 이후, 이방인들은 일요일 오전에 모여서 예배를 드렸다”며, “만약 그래야 한다면, 우리는 일요일 오전 11시가 아니라 오전 6시 새벽에 모여야 한다. 그러니 이제는 토요일이 공유일로 보편화되고, 교인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건축이 아닌 토요주일이 보편화 되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한다. 이 토요주일로 인해 주일 오전 11시 예배의 주차문제 등을 해결할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목사는 인천 온누리교회 건축을 예로 들면서 원래 2000명 이상의 예배당을 계획했지만, 토요주일을 만들어 1000석으로 줄이자고 제안했다. 그래서 인천 온누리교회도 효율적인 건축으로 비용도 절감하고, 주일 오전예배 주차문제 등도 해결했다. 이목사는 미국 뉴저지초대교회 담임목회 시절부터 토요주일을 강조하고 제안해 왔지만, 전통적인 주일 오전예배 습관이 들었던 교인들의 반대로 하지 못했다고 아쉬움을 이야기했다. 그리고 코로나 시기 마침 거리두기 정부 제한이 생기면서 다수의 교인이 한 공간에 모일수 없게 되어 ‘토요주일’을 시작할수 있게 됐다. 그리고 지난 2년 전부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목사는 한국의 저명한 신학자와 목회자 등의 조언을 구해 ‘토요주일’에 대한 성경적인 검증을 마쳤고, 교단내 많은 목회자들과 이야기 한후 온누리교회가 먼저 시행키로 결정했다. 국회 앞 차별금지법 1인 반대시위도 대형교회 목회자로서 처음 나갔던 것처럼, 이번에도 온누리교회를 시작으로 많은 대형교회들이 함께 동참할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목사는 “성령이 일요일 오전에만 임재하는 것이 아니다. 일요일 오후에도, 토요일 오전에도 임재한다. 사실 하용조목사님께서 먼저 일요일 오후예배와 ‘토요주일’ 청년 예배를 만들었다. 그래서 불필요한 예배당 건축을 막고,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보여줬다”고 전했다.

 

9999999999999.PNG

◇온누리 워십콰이어가 4부 예배에서 찬양을 드리고 있다.(사진출처: 온누리교회 유튜브) 

 

사회복지 영역서 봉사역할 감당

 

이목사는 2대 담임목회자 부임 이후 하용조목사의 철학을 이어가며 실천하고 있다. 하지만 이목사는 마태복음 6장 1절에서 4절 “왼손이 하는 것을 오른손이 모르게 하라”란 말씀에 기초해 온누리교회 사회복지재단이 하는 다양한 사회구제선교활동들을 세상과 타 교회에 드러내지 않고 사랑의 손길을 실천하고 있다. 현재 15개 기관이 운영되고 있으며, 각 단체장들은 선교적인 마인드로 이끌고 있다.

 

이 복지재단의 설립목적은 사회복지사업법의 목적에 따라 노인복지사업 및 장애인복지사업, 청소년복지사업 등의 각족 사회복지활동을 수행함으로 누구나 사회일원으로 존중되고, 행복한 삶을 이룩할수 있도록 향상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여 복지국가 건설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목적과 비전은 “이웃을 사랑하신 예수그리스도를 위해, 예수그리스도게서 사랑하신 이웃을 위해, 우리는 존재합니다”이며, “복지사회의 모범사례가 되는 온누리복지재단”이다. 핵심가치는 △사랑=“우리는 예수그리스도의 마음으로 이웃을 사랑합니다” △정직=“우리는 기본과 원칙을 지키며 정직하고 투명하게 실천합니다” △섬김=“우리는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며 섬깁니다”이다.

 

또한 온누리M센터를 설립해 현재 다문화 예배를 시작으로 15개 국가의 언어로 예배가 진행되고 있다.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도 지원하며 한국사회를 이롭게 할 인재가 되길 바라며 돕고 있다. 또 교회건축할 수 있는 비용을 오히려 선교사들을 지원하는 것에 사용하고 있다.

 

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PNG

◇온누리교회 이재훈목사는 다음세대선교를 위해 기독교계의 넥플릭스인 기독교OTT ‘퐁당’을 출시했다.(사진은 퐁당 설명회 모습) 

 

OTT ‘퐁당’출시로 미디어선교 확장

 

다음세대선교를 위해 온누리교회는 지난해 기독교계의 넥플릭스인 기독교OTT ‘퐁당’을 출시했다. 퐁당은 한국교회 내 유일하게 안전한 콘텐츠 제공해 교인들이 안심하고 볼수 있는 플랫폼이다. 이 앱은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 다양한 기기로 사용이 가능하고, 무료로 영화, 예능, 음악, 설교 등의 컨텐츠가 제공된다.

 

‘퐁당’은 “흘러넘치다, 빠져들다”란 뜻의 프랑스어로 “온 세상으로 복음을 흘려보낸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리고 ‘AI큐레이션’으로 균형있는 신앙성장을 위한 맞춤형 콘텐츠를 추천해 준다. 또한 신앙성장영역 점검지를 통해 신앙성장에 필요한 영역을 한눈에 보고, 유형별 성경인물을 제시해 흥미와 이해도를 높여준다.

 

다음세대들에게 인기가 많은 애니메이션 ‘호돌이’와 ‘기독교영화’ 등 신앙의 성숙과 성장을 돕는 컨텐츠들이 매주 업데이트되고 있다. 하용조목사는 CGNTV를 설립해 전세계에 복음을 전했고, 새로운 코로나 시기 이재훈목사는 기독교 OTT플랫폼인 ‘퐁당’으로 미디어 선교 영역을 더 계승 및 발전 시켜 나갔다.

 

한편 최근 온누리교회 국제 예배부가 한 자리에 모여서 영어·중국어·스페인어·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로 찬양을 드리고 예배를 드렸다. 이목사는 이런 다문화예배에 대해 이것이 성경적인 예배이고 교회이다고 강조했다.

 

555555555555555555.PNG

◇온누리교회 이재훈목사는 하용조목사가 사용하던 모습의 서재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사진은 이재훈목사의 서재 모습)

 

전 세계에 2188명 선교사 파송

 

온누리교회는 고 하용조목사가 받은 ‘사도행전적인 교회’를 비전으로 삼고 있다. 여기서 사도행전적인 교회란 예수가 주인되고 성령이 이끄는 것이다. 또한 ‘엑츠29’란 단어로 표현키도 하며, 성경의 사도행전 28장은 끝나지만, 그 28장의 마지막은 마치 끝나지 않은 것 같은 여운을 두고 끝난다고 강조한다. 그래서 이 시대의 사도행전을 써내려가는 비전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 이목사는 주일설교 중에 온누리교회가 2188명의 선교사를 파송한 것은, 세계 역사상 처음이며, 과거 하목사가 선포했던 비전이 현실이 된 것임을 강조했다.

 

하목사가 온누리교회에서 2000명의 선교사를 파송한다는 선포를 할 당시 부교역자들도 당황했다고 했다. 하지만 하목사는 당시 교인이 1000명도 안되던 상황에서 전 교인을 파송해도 어려운 것이지만, 믿음의 눈으로 바라보고 선포했던 것이다. 그 시절은 현실로 이뤄질 것이라고는 상상할수 없었다.

 

이 교회는 하목사가 별세한 주간이 다가오면 새벽예배 설교로 하목사의 영상을 함께 듣고, 그가 받은 하나님의 비전을 돼새기고 있다. 또 지난 2021년에는 하용조목사와 온누리교회의 역사를 담은 ‘하용조목사 평전’을 출간해 하목사의 사역과 온누리교회의 뿌리를 잊지 않고 기억하기로 다짐했다.

 

현재 이목사의 서재는 고 하목사가 살아있던 당시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목사는 “하목사님께서 책들 가운데 메모했던 것들을 볼때도 있다. 하목사님의 흔적을 지우고 싶지 않았다”며, “가끔 목회를 하다가 어려움을 마주하면 하목사님이라면 어떻게 했을까 고민을 한다. 그러면 해결책을 얻기도 한다”고 전했다.

전체댓글 0

  • 3545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온누리교회와 이재훈목사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